전통적 서비스 기획은 제품 단위(Product-centric)로 접근했다.
웹사이트, 앱, 오프라인 매장 각각을 독립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2025년 현재, 성공적인 서비스는 단일 제품을 넘어 플랫폼·생태계를 설계한다.
- 사용자, 개발자, 파트너, 데이터를 한 구조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
- 각 참여자가 플랫폼 안에서 가치를 창출하고 순환
- 서비스 경쟁력은 단순 기능이 아닌,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와 참여자 경험에서 발생
네트워크 효과 강화
참여자가 많을수록 가치가 증가하는 구조
예: 사용자 + 콘텐츠 제작자 + 개발자 = 플랫폼 전체 가치 상승
제품 의존성을 넘어선 지속성 확보
단일 제품이 아닌 생태계 중심으로 설계하면
경쟁사와 차별화가 쉽고, 고객 이탈 저항력도 커짐
데이터 순환과 인텔리전스 고도화
생태계 내 모든 접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통합되면
개인화, 예측, 추천 등 AI 기능을 더욱 정교하게 수행 가능
참여자 중심 설계
플랫폼에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존재
사용자, 파트너, 서드파티 개발자, 광고주, 운영자
각각의 역할과 동기를 이해하고, 가치 교환(Value Exchange) 구조를 설계해야 함
핵심 자산(Core Asset) 정의
플랫폼에서 통제할 핵심 자산을 명확히 설정
예: 데이터, API, 사용자 인터페이스, 결제 시스템
기획 단계에서 “무엇을 통제하고 공유할 것인가”를 결정
개방형 아키텍처(Open Architecture) 설계
외부 참여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API, SDK, 데이터 접근 방식을 제공
동시에 핵심 경쟁력은 안전하게 보호
수익 구조 다각화
단일 제품 판매보다 생태계 참여자가 만들어내는 가치에서 수익 모델 창출
예: 플랫폼 수수료, 광고, 구독,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제공

Airbnb
단순 숙소 중개에서 체험/레스토랑 예약/교통 연계 등 생태계 확장
사용자 + 호스트 + 서비스 제공자 간 상호작용이 플랫폼 핵심 가치
Shopify
단순 이커머스 솔루션에서 결제, 물류, 마케팅, 앱 마켓까지 확장
서드파티 개발자가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방형 API 제공
참여자가 많을수록 플랫폼 자체 가치가 상승
생태계 참여자 여정(Ecosystem Journey) 설계
단일 사용자 여정이 아닌 참여자 그룹별 여정 지도 작성
예: 사용자 → 파트너 → 제휴사 → 내부 운영팀
각 접점에서 가치 제공, 경험 연속성 확보
데이터 거버넌스 설계
데이터 공유와 보호의 균형
참여자가 데이터를 제공할 때 신뢰와 보상을 명확히 설계
플랫폼 확장성·유연성 확보
미래 기능·서비스 확장을 고려한 모듈화 설계
예: API, SDK, 플러그인 기반 구조
네트워크 효과 측정 지표 도입
단순 MAU/DAU가 아닌, 참여자 간 상호작용 수, 거래량, 콘텐츠 생성 수 등 지표를 통해 생태계 건강 진단

참여자 가치 교환(Value Exchange) 명확화
사용자: 편리함, 혜택, 경험
파트너: 수익, 데이터 인사이트, 사용자 접점
플랫폼: 참여 증가 → 네트워크 효과 → 수익 증대
핵심 기능 + 개방형 API 병행
핵심 기능은 플랫폼이 직접 제공
확장 기능은 서드파티 참여자가 제공하여 생태계 확장
데이터 기반 생태계 인텔리전스
참여자 활동 데이터 통합
AI를 활용한 추천, 예측, 맞춤형 경험 제공
서비스 기획자는 이제 제품 자체가 아니라 관계를 설계해야 한다.
- 참여자 간 상호작용
- 데이터 흐름과 공유
- 가치 순환 구조
이 모든 것을 설계할 때, 플랫폼과 생태계 관점이 필수적이다.
2025년 성공 서비스의 특징은 “누구와 연결되었는가”, “데이터와 경험이 얼마나 순환되는가”가
단일 기능이나 UI보다 경쟁력 있는 요소가 된다.